함경남도 향토문화 계승을 위한 문화재 발굴·고증 웨비나
: 전통무예 ‘수박’을 중심으로
일시: 2023.6.12.(월) 15:00~17:00
장소: 현장참석 및 비대면 화상회의
□ 세부 프로그램
좌장: 신혜진 박사
구성 | 주제 | 성명 | |
개회식 | 15:00~15::10 | 개회사 및 환영사 | 신혜진 박사(서울대학교 사범대학전.비전임 교수) |
주제발표 | 15::10~15::25 | 수박의 전승계보 추적:전통무예 수박의 무형문화재 가치성 고찰 | 임홍택 교수 (서울문화예술대학 교수) |
15::25~15::40 | 수박의 지역성 고찰: 북청 남병영과 단천 봉대를 중심으로 | 한성호 군수(이북오도위원회 전,홍원 군수) | |
15::40~15:55 | 수박의 학문적 고찰:함경남도 민속(체육) “속쇄”에 관한 연구 | 송준호 회장 (대한수박협회 회장) | |
자유토론 | 16:00~16:40 | 수박의 함경남도 문화유산 지정을 위한 다각적 고찰 정일홍 박사 (부산여자대학교 교수)제갈덕주 박사 (전,대구대학교 연구교수)정찬률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이사장) | |
문화재 고증 및폐회식 | 16:40~17:00 | 수박 문화재 지정 가치 발표 및 함경남도 무형문화재 지정의 필요성 | 신혜진 박사(서울대학교 사범대학전.비전임 교수) |
제1장
주제발표
1전통무예 수박의 계보 추적
무형문화재적 가치 고찰
서울문화예술대학교 임홍택 교수
전통무예 수박의 역사성과 전승계보를 설명 드리겠습니다.
사)대한수박협회를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는 함경남도 단천에서 전해지는 수박은 구한말 압록강을 건너서 중국으로 이주한 김달순, 그 자제인 김학천과 김학현으로부터 전수 받은 송준호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북청 출신으로 송창렬 등 추가적인 계보가 있으나 함경남도 단천 김달순, 중국 장백 조선족 자치현 학천과 학현 함경남도 북청에서 황해도 개성 이주한 송창렬 자제인 송준호가 되겠습니다.
김만석, 김룡칠 등과 대한체육회 초대회장을 지낸 민관식 형 민완식, 오진환이 추가로 확인되고 있으며 이들로부터 온전하게 전수 받은 이로는 송준호가 유일 합니다.
============
수박의 무형문화재 지정에 대한 소개를 드리겠습니다.
함경남도 단천에 전해진 수박춤에 무자와 악사가 격투동작을 재현하게 되는데 북한의
수박측에 격투가 잇고 또 기능자들 생전 증언으로도 수박은 무예이자 무용입니다.
무예적 수박과 무용적 수박춤, 그리고 유희적 수박치기 세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체는 같고 용법에 차이가 있지만 수박 동작에 장단과 몸짓을 넣어서 하던 수박춤은 수박과 연계선상에 있으며 태권도도 구성요소로 기본 동작과 격파 체조라고도 하는데 있듯이 수박의 구성요소로 수박과 수박춤이 있습니다.
수박은 함경남도 역사성과 정체성을 함양하고 무형문화재의 가치구현과 형성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문헌 등으로 오랬동안 지속되어 왔음을 증명할 수 있으며 함경남도의 문화 학술적 가치가 있습니다.
표현미라던가 전통문화로써 가지고 있으며 대표성을 가지고 잇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2018년 전통무예 백서에 수박을 전승된 종목으로 발표 했고 국내 1단체로 사회적 대표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세대간 전승을 통해서 전형을 유지하고 잇으며 조선초기 보갑사를 봅을때 경제육전에 수박이 시취과목으로 치러 졌습니다.
이성계의 의흥 친군위, 태종 이방원의 친군위는 함경도 사람들로 구성되었고 경국대전에 이르러 수박이 시취과목에서 배제 되었으나 갑사를 뽑는 과정과 동일하게 치르지기 때문입니다.
세종때 김윤수는 갑사로 수박을익혔으며 혼자서 여럽명을 이긴 기록이 있습니다. 후에 함경도 도절제사로 함경도의 군사훈련을 총괄 했으며 정조때 발간된 관찬사서 무예도보통지를 보면 권법은 수박의 별칭임이 확실합니다.
현재 유네스코 등재 된 무예도보통지의 수박은 군대에서 하던 것이었고 함경남도에서 민간에 흘러 나온 무예이자 춤이 되겠습니다.
북청에 군사들이 주둔 했으며 단천에는 남병영에서 관할하던 봉대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환경으로 함경남도에 수박이 전해질수 있었습니다.
중국은 2017년 산시성 성급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고 21년 신핑시 지정을 했습니다.
무예로써 수박은 2019년 문화재청에서 기초조사를 했고 무용부문 조사보고서 생산 후 기능자들이 연로해서 모두 작고를 했습니다.
중국의 역사 문화공정으로 동북삼성에 거주하는 조선족들과 한국에서 실향민, 그 2세대들이 전해 오는 이북오도문화유산들이 정체성을 잃고 일부 종목은 멸실되어 가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설명절 때 행해지는 세시풍속화 경향도 엿보이며 마을공동체의 놀이로도 전파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무예적인 택견, 씨름, 활쏘기 등이 국가무형문화재 또는 유네스코에 등재 된 반면에 수박은 아직까지 정부의 직접적인 정채으로부터 배제되어 잇습니다.
이는 북한지역에서 전승 된 것으로 전문 연구가가 부족한 탓이 크다고 봅니다.
수박의 역사성에 대해 말씀드리고 마무리를 하겠습니다.
집안의 고구려 무용총이나 황해도의 안악고분에서 고대부터 존재한 것은 동시대의 중국 사료를 봐도 알 수 있습니다.
이성계는 함경도 무관 출신으로 조선 왕실의 근거지가 함경남도 였으며 함경도 사람들로만 구성 된 군종이 있었습니다.
함경북도에 북병영, 함경남도 북청에 남병영을 설치하고 군대를 주둔했습니다.
수박은 조선초기 법전인 경제육전에 군사 시취과목으로 포함되었는데 왕을 호위하는 보갑사나 방패군을 뽑는데도 수박 기능이 꼭 필요했던 것이죠.
정조는 무예도보통지를 편찬하며 제4권에 권법, 수박의 별칭을 포함해서 전군영에 보급하였습니다.
친군위나 남병영에서 육박전 훈련을 할때도 수박을 활용 했음은 미루어 알 수 있으며 수박춤에 격투동작, 무예적 동작을 재현 하는 것으로 실제적 검증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2017년 작고한 송창렬이 전승 했으며 대한체육회 초대회장을 지낸 민관식의 형 민완식 계보 오진환 등이 있습니다.
수박의 무형적 표현을 수렵춤이라고도 하지만 고대 군사무예와 같고 동물 소리를 모방하거나 하는 것으로 수렵 영향이 있습니다.
몽골 버흐나 일본 스모에도 수박의 일부가 전해지고 있어 이웃 국가에도 전파된 것이 확인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2024, 편집부. All rights reserved. 모든 콘텐츠(기사)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