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inhua Silk Road: 문화 융합을 보여주는 고대 중국 민족의 유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

베이징 2025년 7월 17일 /PRNewswire/ — 7월 11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4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UNESCO World Heritage Committee) 회의에서 서하 황릉(Xixia Imperial Tombs)이 세계유산목록에 등재됐다. 이로써 중국의 60번째 세계유산이 탄생했다.

A drone photo taken on July 10, 2025 shows two Xixia imperial tombs in northwest China's Ningxia Hui Autonomous Region. (By Wang Peng)
A drone photo taken on July 10, 2025 shows two Xixia imperial tombs in northwest China’s Ningxia Hui Autonomous Region. (By Wang Peng)

중국 북서부 닝샤 후이족 자치구 인촨시 허란산 기슭에 위치한 서하 황릉은 서하 왕조(1038-1227)를 대표하는 가장 크고 등급이 높으며 잘 보존된 고고학 유적이다.

이 문화유산 지역은 황릉 9기, 부속 무덤 271기, 북단의 건축 군락 1곳, 홍수 방지 시설 32개로 구성된다.

약 반세기에 걸친 발굴 작업을 통해 금도금 청동 황소와 유약을 바른 치문 등 7100점 이상의 정교한 유물이 발굴됐다. 이러한 유물은 서하 문명의 특징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서하 황릉을 다문화 융합의 뛰어난 증거로 인정했다.

서하 황릉의 공간 배치, 설계 철학 및 건축 양식은 당(618-907)과 송(960-1279) 왕조의 황실 묘 시스템을 계승하는 동시에 불교 신앙과 고대 지역 소수민족의 풍습 통합했다. 이것이 독특한 장례 전통을 만들었고 11세기부터 13세기까지 실크로드를 통한 문화 및 상업 교류에 있어 서하 왕조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세계유산 위원회는 서하 황릉 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중국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과 탁월한 성과를 높이 평가했다.

서하 황릉은 1988년 국가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된 이래 종합적인 법률과 규정, 관리 체계를 확립해 왔다.

특히 2000년 이후 전문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60건의 주요 보강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수행됐다. 이로써 황릉과 주요 부속 무덤에 영향을 미치던 불안정 위험과 표면 침식 문제가 사실상 해소됐다.

또한, 문화유산 지역 내 약 10만 제곱미터의 건물과 현대식 시설물을 철거하고 포괄적인 모니터링 및 조기 경보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유적지의 진정성, 완전성 및 보존 환경이 효과적으로 확보됐다.

국제 학자들은 서하 황릉이 중국 고대 소수민족 관계, 건축 예술, 장례 전통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물리적 증거가 된다고 평가한다. 이번 세계유산 등재로 인해 세계 문화 유산의 다양성이 더욱 풍부해졌다.

원본 링크: https://en.imsilkroad.com/p/346640.html

© 2025, 편집부. All rights reserved. 모든 콘텐츠(기사)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답글 남기기

Back to Top

국내외 포털 본지 기사 읽기

한국문화저널은 교보문고, 아마존에 출판을 지원합니다.

미국 아마존 출판도서 바로가기

제호: 한국문화저널 등록번호: 부산, 아00245 부산시 중구 중구로 61 4F 전관 편집인(청소년보호책임자): 송기송 대표전화: 051 241-1323 ※본지는 신문윤리강령 및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 모든 콘텐츠(기사)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 [뉴스 미란다 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한국문화저널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soobakmu@naver.com)

youtube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