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idge Capture™, 대장암 액체 생검 파일럿 연구에서 확장 가능한 고감도 분석 기술 입증

사이언티픽 리포트 (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된 임상 연구, Bridge Capture™로 전이성 대장암 환자의 혈액 샘플에서 주요 돌연변이 검출

투르쿠, 핀란드, 2025년 7월 14일 /PRNewswire/ — 차세대 염기서열분석을 위한 간소화된 표적 라이브러리 전처리 기술을 선도하는 생명공학 기업 지노밀 헬스(Genomill Health)가 Bridge Capture™ 기술의 높은 민감도를 입증한 임상 파일럿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전이성 대장암 환자의 세포 유리 DNA(cell-free DNA)를 분석하여, Bridge Capture™가 미세방울 디지털 PCR(ddPCR)과 동등한 민감도로 돌연변이를 검출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ddPCR은 해당 분야의 ‘골드 스탠더드’로 평가받는 기술이다. Bridge Capture™는 무제한 확장 가능한 유전자 패널,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워크플로를 통해 분산형 NGS 검사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연구는 아리 리스티매키(Ari Ristimäki) 교수 그룹(헬싱키 대학 병원)과 공동으로 수행됐으며, Bridge Capture™가 ddPCR 및 Ion AmpliSeq™ 기술과 높은 일치도를 보였고, 종단적 혈장 샘플 분석을 통해 질병 진행을 반영하는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여러 종양 돌연변이를 추가로 검출했다. 리스티매키 교수는 높은 확장성, 민감한 타깃 시퀀싱, 비용 효율성 및 사용 편의성을 동시에 갖춘 Bridge Capture™의 기능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그는 이 기술이 향후 치료 모니터링에서 액체 생검의 활용 범위를 크게 확대할 수 있는 중요한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시모나 아다무소바(Simona Adamusová) 박사과정 연구원이자 제1 공동 저자는 “Bridge Capture는 환자 샘플에서 돌연변이를 검출하는 데 있어 기존의 골드 스탠더드 방법을 능가하거나 그에 필적했다”며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추적하는 능력은 암 진행과 재발을 모니터링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마누 탐미넨(Manu Tamminen) 지노밀 최고경영자(CEO) 겸 공동 설립자는 “이 임상 파일럿 연구는 액체생검 분야에서 Bridge Capture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강조한다”라며 “간단한 실험실 워크플로와 다양한 시퀀싱 플랫폼과의 호환성은 분산형•탈중앙화된 종단적 암 진단 체계를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현재 액체 생검의 일상적 활용을 방해하는 비용 및 인프라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Bridge Capture를 접근성 높은 암 진단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Bridge Capture는 원형 DNA 및 선형 DNA 증폭을 기반으로 한 지노밀의 Geno1® 기술을 구현한 사례다. 유하-페카 푸르시헤이모(Juha-Pekka Pursiheimo) 기술 개발자이자 최고기술책임자(CTO)는 “Bridge Capture는 기존 선형 라이브러리에 비해 훨씬 유연하고 강력한 대안인 원형 단일 가닥 DNA를 사용하여 NGS 라이브러리 설계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당사의 PCR-free DNA 증폭 기술과 결합하면, 지노밀은 NGS 라이브러리 전처리 방식에 혁명을 일으킬 수 있다”라고 말했다.

전체 논문은 ‘전이성 대장암 환자의 액체 생검을 활용한 돌연변이 프로파일링을 위한 Bridge Capture 기술 평가(Bridge Capture)’라는 제목으로 게재됐으며, 사이언티픽 리포트의 아래 링크에서 열람할 수 있다. (링크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5-04827-2)

지노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ttps://genomill.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727554/Genomill_Health_Logo.jpg?p=medium600

연락처

CEO 마누 탐미넨(Manu Tamminen)
manu@genomill.com
전화: +358403513712

 

© 2025, 편집부. All rights reserved. 모든 콘텐츠(기사)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답글 남기기

Back to Top

국내외 포털 본지 기사 읽기

한국문화저널은 교보문고, 아마존에 출판을 지원합니다.

미국 아마존 출판도서 바로가기

제호: 한국문화저널 등록번호: 부산, 아00245 부산시 중구 중구로 61 4F 전관 편집인(청소년보호책임자): 송기송 대표전화: 051 241-1323 ※본지는 신문윤리강령 및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 모든 콘텐츠(기사)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 [뉴스 미란다 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한국문화저널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soobakmu@naver.com)

youtube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