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노펙, 해외에서 첫 ‘글로벌 에너지 전망 2060’ 보고서 발표

— 에너지•화학 연구 보고서 3건 발표로 에너지 전환 분야에서 공동 목표와 사업 협력 강화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2025년 4월 24일 /PRNewswire=연합뉴스/ — 중국 최대 종합 에너지•화학 기업 중 하나인 중국석유화학공사(China Petroleum & Chemical Corporation)(HKG: 0386, 이하 ‘시노펙’)가 4월 21일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서 열린 중국 에너지 및 화학 산업 보고서 해외 발표 행사에서 ‘글로벌 에너지 전망 2060(Global Energy Outlook 2060)‘ 보고서를 공식 발표했다. 시노펙은 행사에서 2025년판 ‘중국 에너지 전망 2060(China Energy Outlook 2060)‘ 및 ‘2025 중국 에너지 및 화학 산업 전망(2025 China Energy and Chemical Industry Outlook)‘ 보고서도 추가로 공개했다.

이번 행사는 시노펙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한 세 번째 해외 발표 행사로, 양국 간 에너지 전환 협력 강화와 학술 및 비즈니스 교류 촉진에 기여했다.

Sinopec Makes Overseas Debut with Global Energy Forecast: Global Energy Outlook 2060 Report Released.
Sinopec Makes Overseas Debut with Global Energy Forecast: Global Energy Outlook 2060 Report Released.

중국 기업이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혁신적인 연구를 활용해 해외에서 중장기 글로벌 에너지 전망을 발표한 건 ‘글로벌 에너지 전망 2060’ 보고서가 처음이다. 보고서는 2045년까지 전 세계 1차 에너지(primary energy), 즉 자연 상태에서 바로 얻을 수 있는 에너지 소비량이 표준석탄 기준 267억 1000만 톤으로 정점에 도달하고, 2060년까지 전체 에너지 소비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51.8%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또 2060년까지 전 세계 에너지 소비량은 252억 5000만 톤으로 감소하되 이 중 석유와 가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35.7%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석유 소비량은 2030년에 46억 6000만 톤으로 정점에 이르고, 사용 비중이 수송용 연료에서 산업용 원료 쪽으로 옮겨가겠지만 2060년까지 여전히 운송용 에너지의 40%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했다.

보고서는 비화석 에너지 사용은 크게 증가하면서 2023년 2%에 머문 수소 사용량은 2060년까지 약 50%로 증가해 연간 3억 4000만 톤을 넘어서고, 탄소 포집•저장(CCUS) 용량은 2030년까지 1억 1000만 톤, 2060년까지 47억 톤으로 각각 확대되어 에너지 전환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5년판 ‘중국 에너지 전망 2060’ 보고서는 중국의 1차 에너지 사용량이 68억~71억 톤의 표준석탄으로 2030년 이후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측했다. 석유 수요는 2027년 이전에 정점을 기록하고, 2035년까지 전력 생산에서 비화석 에너지 사용이 화석 연료 사용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또 에너지 부문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₂) 배출량은 2030년 이전에 108억~112억 톤으로 정점을 찍으면서 중국이 탄소 배출 정점을 조기에 달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2025 중국 에너지 및 화학 산업 전망’ 보고서는 중국의 총 정제 능력이 2025년까지 연간 9억 6000만~9억 7000만 톤으로 정점을 찍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 화학 산업은 올레핀과 아로마틱 분야에서 과잉 생산 문제에 직면하더라도 이런 벌크 화학 제품의 생산 능력은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http://www.sinopec.com/listco/en/에서 보고서에 담긴 더 많은 통찰력 있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2025, 편집부. All rights reserved. 모든 콘텐츠(기사)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답글 남기기

Back to Top

국내외 포털 본지 기사 읽기

한국문화저널은 교보문고, 아마존에 출판을 지원합니다.

미국 아마존 출판도서 바로가기

제호: 한국문화저널 등록번호: 부산, 아00245 부산시 중구 중구로 61 4F 전관 편집인(청소년보호책임자): 송기송 대표전화: 051 241-1323 ※본지는 신문윤리강령 및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 모든 콘텐츠(기사)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 [뉴스 미란다 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한국문화저널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soobakmu@naver.com)

youtube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