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시 4일간, 약 20만 2천여 명 방문
– 세가/아틀러스, 플레이온/워호스 스튜디오 등 해외 개발사 전시 참여 확대
– 호리이 유지 등, 놀라운 라인업으로 구성된 내러티브 중심 컨퍼런스 호평
– 스팀덱, 유니티, 디스코드가 함께한 인디 쇼케이스, 글로벌 인디 허브 도약
전시 4일간, 약 20만 2천여 명 방문 세가/아틀러스, 플레이온/워호스 스튜디오 등 해외 개발사 전시 참여 확대 호리이 유지 등, 놀라운 라인업으로 구성된 내러티브 중심 컨퍼런스 호평 스팀덱, 유니티, 디스코드가 함께한 인디 쇼케이스, 글로벌 인디 허브 도약
개막식 행사 [지스타 조직위 제공]
국제게임전시회‘지스타 2025’가 4일간의 여정을 마무리했다. 한국게임산업협회(K-GAMES)가 주최하고 지스타 조직위원회와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이 공동주관한 이번 행사는 11월 13일부터 16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었으며, BTC 및 BTB 합계 총 3,269부스가 마련되었다.
특히 해외 주요 개발사의 참여가 확대되며 향후 지스타에 대한 기대도 자연스럽게 높아졌으며, 이야기가 있는 전시라는 올해의 테마에 맞춰 전시 구성 전반에 새로운 시도를 적용하여 관람객의 관심을 더욱 집중시켰다.
NC소프트 부스 출품작 CINDER CITY의 모델: 연지
먼저 BTC 전시로 구성된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는 다이아몬드(메인) 스폰서로 참여한 엔씨소프트가 〈아이온2〉, 〈신더시티〉, 〈호라이즌 스틸 프론티어스〉, 〈리밋 제로 브레이커스〉, 〈타임 테이커즈〉 등 총 5종의 신작을 공개했다. 게임 시연 외에도 압도적 규모의 돔형 파노라마 상영관 ‘NC시네마’를 통해 다양한 신규 트레일러를 선보이며 참관객들에게 특별한 몰입 경험을 제공했다.
크래프톤의 출품작 팰월드 모바일 부스
웹젠은 〈게이트 오브 게이츠〉, 〈테르비스〉 두 작품을 출품하며 체험 중심의 부스를 꾸몄고, 자사 IP ‘웹젠 프렌즈’를 활용한 테마파크형 이벤트존으로 색다른 즐길 거리를 제공했다. 크래프톤은 〈팰월드 모바일〉을 테마로 한 전시 공간을 조성해 실제 게임 속 세계관을 구현했고, 현장에서 첫 시연을 진행해 큰 호응을 얻었다.
이 밖에도 플레이샵(오진상사)은 〈그란투리스모 7〉, 〈스플릿 픽션〉 등 인기 플레이스테이션 타이틀을 전시, 위메이드커넥트는 〈노아(N.O.A.H)〉, Nuverse는 〈블리치: 소울 레조넌스〉를 선보였다. 네오위즈는 〈산나비: 귀신씌인 날〉체험존을 조성하여 구름 인파를 모으는 등 다양한 장르와 플랫폼의 게임들이 참관객을 맞이했다.
위메이드 커넥트 부스 출품작 Noah 모델: 블리 / 은묘
또한 제2전시장 BTC관에는 글로벌 개발사들이 대거 참여했다. 반다이남코 엔터테인먼트는 〈에이스 컴뱃〉 시리즈 30주년을 기념한 특별 공간을 마련했고,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는 〈오버워치 2〉 테마의 체험존을 구성했다. 세가·아틀러스는 〈페르소나〉 시리즈 및 〈메타포 리판타지오〉의 아트워크 전시와 체험 이벤트를 진행했으며, 워호스 스튜디오는 세계적인 스팀의 화제작인 〈킹덤 컴: 딜리버런스2〉의 마지막 DLC 출시와 함께 지스타를 찾아 관람객들과 소통했다.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전시장 내부의 혼잡도 관리와 최근 몇 년간 크게 증가한 야외 광장 방문객 흐름 통제에 중점을 두고 운영한 결과, 이번 지스타에는 4일간 총 약 20만 2천 명이 방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벡스코 제2전시장 3층에 마련된 BTB관은 11월 13일(목)을 시작으로 11월 15일(토)까지 3일간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BTB 참가자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은 네트워킹 라운지를 대폭 확대하는 한편, 소형 부스가 라운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하여 전시 참가 규모와 상관없이 누구나 다양하고 많은 비즈니스 상담 기회를 모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3일간 비즈니스 상담을 위해지스타 BTB 전시장에 직접 방문한 유료 바이어는 2,190명으로 집계되었다.
제 2 전시장 반다이 남코 부스의 출품작 에이스 컴뱃
지스타의 핵심 콘텐츠로 자리 잡은 G-CON은 올해도 수준 높은 세션 구성으로 관람객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G-CON 2025는 ‘내러티브(Narrative)’를 주제로 총 16개 세션을 단일 트랙으로 진행하며, 게임 스토리텔링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글로벌 창작자들의 통찰을 한데 모았다. 그 결과, 지난해보다 두 배 이상 확대된 공간에서 열렸음에도 대부분의 세션에서 빈자리가 만석에 가까울 정도로 뜨거운 열기가 이어졌다.
올해 지스타 인디 쇼케이스 2.0: Galaxy는 총 400부스 규모로 운영되었으며, 스팀덱(유통사: 코모도), 유니티, 디스코드 등 글로벌 파트너와 함께 20개국 80개 인디 개발사가 참여했다. 이 가운데 독일, 스페인, 미국, 중국, 일본 등 41개의 해외 개발사가 참가해 다국적 인디 창작 생태계를 형성했다. 이번 인디 쇼케이스에서는 참가작 외에도 <퍼스트 버서커: 카잔>, <리틀 나이트메어 3>등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타이틀을 고유 콘셉트의 스팀덱 체험존에서 시연할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했으며, 전시 기간 동안 일반 관람객과 BTB 바이어들이 현장을 찾아 다양한 인디 게임을 직접 체험하며 풍성한 교류의 장이 마련되었다.
지스타 2025의 4일차 야외 전경
마지막으로 조영기 지스타조직위원회 위원장은 “올해 지스타가 다양한 서사와 이야기를 담은 전시 구성, 그리고 시연은 물론 관람객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몰입형 콘텐츠를 강화한 만큼 더욱 깊이 있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었다”며 “참가사와 유관기관, 그리고 지스타를 찾아주신 모든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성원 이 있었기에 이번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새로운 체험 방식과 전시 형태를 지속적으로 모색하여 한 단계씩 꾸준히 발전하는 지스타를 만들어가겠다”고 언급했다.
한국문화저널 박주용 기자
© 2025, Park Joo Yong. All rights reserved. 모든 콘텐츠(기사)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
This post was last modified on 2025년 11월 16일 10:24 오후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