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영어 실력, AI 기반 평가로 본 최신 동향

EF, 2025 영어 능력 지수 발표… 한국은 48위

취리히, 2025년 11월 19일 /PRNewswire/ -- 글로벌 교육 기관 EF(Education First)는 지난 11월 19일, 전 세계 123개국의 성인 영어 실력을 분석한 **'2025 영어 능력 지수(EF English Proficiency Index, 이하 EF EPI)'**를 발표했다. 올해 보고서에서는 한국이 전년 대비 한 단계 하락한 48위를 기록하며, 2년 연속 하락세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세계 최대 규모의 무료 영어 시험 플랫폼 **EF SET(EF Skills Evaluation Technology)**를 통해 수집된 220만 명의 성인 테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됐다. 특히 올해는 AI 기술을 활용해 말하기(Speaking)와 쓰기(Writing) 평가가 최초로 도입되며 평가 범위가 한층 확대됐다.

 

The EF English Proficiency Index is an annual ranking of countries, regions and capital cities by English skills.
The EF English Proficiency Index is an annual ranking of countries, regions and capital cities by English skills.

 

EF 영어 평가 책임자 케이트 벨(Kate Bell)은 "이제는 단순한 이해 능력을 넘어, 실제 언어 표현 능력까지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됐다"며, "글로벌 환경에서 영어는 단순한 소통 수단을 넘어 경제, 문화, 기술을 연결하는 필수 역량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EF EPI에 따르면, 25세 이하 청년층의 영어 실력이 기대 이하로 평가되었으며, 일부 국가는 오히려 고령층보다 낮은 점수를 기록하는 등 포스트 팬데믹 회복세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가 간•영역 간 실력 격차도 여전히 큰 편이며, 특히 말하기(Speaking) 능력이 절반 이상의 국가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한국은 2023년부터 하락세를 이어가며 2025년 48위를 기록했으며, 청년층 실력 저하와 함께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교육 자원 격차가 지속적으로 우려되고 있다.

EF는 "전 세계적으로 영어는 단순한 시험 대비 기술이 아닌, 혁신과 협업, 국제적 기회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강조하며, AI 기술의 빠른 발전 속도에 맞춰 영어 실력이 디지털 접근성 및 글로벌 역량의 핵심 기준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EF는 이번 보고서에서 정부 및 교육기관, 기업, 개인 차원의 실질적인 접근법을 제시했다.

△직무 맞춤형 비즈니스 영어 교육 도입

△온라인 및 AI 기반 학습 시스템 확대

△성인을 위한 평생 교육 기반 조성

△일상 속 영어 노출 환경 설계(소셜미디어•디지털 콘텐츠 활용 등)

EF 코리아 오재경 지사장은 "EF 한국 지사는 현재 학교, 기업, 정부 기관을 대상으로 공식 영어 평가 시험인 EF SET을 무료 제공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대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기업과 기관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EF는 1965년 스웨덴에서 설립된 이래, 100여 개국에서 언어 교육, 문화 교류, 국제 학위 과정, 글로벌 유학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며, **'교육을 통해 세상을 여는 것(Open the World Through Education)'**을 미션으로 삼고 있다.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824507/EF_English_Proficiency_Index_2025.jpg?p=medium600
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2824506/EF_Logo.jpg?p=medium600

 

 

문의:
mediainquiry@ef.com

EF, 2025 영어 능력 지수 발표… 한국은 48위

취리히, 2025년 11월 19일 /PRNewswire/ — 글로벌 교육 기관 EF(Education First)는 지난 11월 19일, 전 세계 123개국의 성인 영어 실력을 분석한 **’2025 영어 능력 지수(EF English Proficiency Index, 이하 EF EPI)’**를 발표했다. 올해 보고서에서는 한국이 전년 대비 한 단계 하락한 48위를 기록하며, 2년 연속 하락세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세계 최대 규모의 무료 영어 시험 플랫폼 **EF SET(EF Skills Evaluation Technology)**를 통해 수집된 220만 명의 성인 테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됐다. 특히 올해는 AI 기술을 활용해 말하기(Speaking)와 쓰기(Writing) 평가가 최초로 도입되며 평가 범위가 한층 확대됐다.

 


The EF English Proficiency Index is an annual ranking of countries, regions and capital cities by English skills.

 

EF 영어 평가 책임자 케이트 벨(Kate Bell)은 “이제는 단순한 이해 능력을 넘어, 실제 언어 표현 능력까지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됐다”며, “글로벌 환경에서 영어는 단순한 소통 수단을 넘어 경제, 문화, 기술을 연결하는 필수 역량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EF EPI에 따르면, 25세 이하 청년층의 영어 실력이 기대 이하로 평가되었으며, 일부 국가는 오히려 고령층보다 낮은 점수를 기록하는 등 포스트 팬데믹 회복세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가 간•영역 간 실력 격차도 여전히 큰 편이며, 특히 말하기(Speaking) 능력이 절반 이상의 국가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한국은 2023년부터 하락세를 이어가며 2025년 48위를 기록했으며, 청년층 실력 저하와 함께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교육 자원 격차가 지속적으로 우려되고 있다.

EF는 “전 세계적으로 영어는 단순한 시험 대비 기술이 아닌, 혁신과 협업, 국제적 기회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강조하며, AI 기술의 빠른 발전 속도에 맞춰 영어 실력이 디지털 접근성 및 글로벌 역량의 핵심 기준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EF는 이번 보고서에서 정부 및 교육기관, 기업, 개인 차원의 실질적인 접근법을 제시했다.

△직무 맞춤형 비즈니스 영어 교육 도입

Related Post

△온라인 및 AI 기반 학습 시스템 확대

△성인을 위한 평생 교육 기반 조성

△일상 속 영어 노출 환경 설계(소셜미디어•디지털 콘텐츠 활용 등)

EF 코리아 오재경 지사장은 “EF 한국 지사는 현재 학교, 기업, 정부 기관을 대상으로 공식 영어 평가 시험인 EF SET을 무료 제공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대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기업과 기관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EF는 1965년 스웨덴에서 설립된 이래, 100여 개국에서 언어 교육, 문화 교류, 국제 학위 과정, 글로벌 유학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며, **’교육을 통해 세상을 여는 것(Open the World Through Education)’**을 미션으로 삼고 있다.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824507/EF_English_Proficiency_Index_2025.jpg?p=medium600
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2824506/EF_Logo.jpg?p=medium600

 

 

문의:
mediainquiry@ef.com

© 2025, 편집부. All rights reserved. 모든 콘텐츠(기사)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

Categories: PR뉴스와이어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