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차검증)송덕기류 택견과 북한 개성 택견, 민속학자 계정희 교수 발굴 1965년 발표

(편집부)= 택견은 순전히 발로 차기 하던 것으로 상대를 붙 잡거나 손으로 치는것을 수접이택견/수제비택견-버릇 없이 어른한테 말대꾸 한다는식으로 치부 됐다(북한 민속학자 계정희, 국어대사전)

​위 자료는 1960년대 초반에 북한지역 개성에서 발굴 된 택견 기능자를 북한 민속학자인 계정희교수가 현지 조사를 하고 발표한 거다.

​국내 국립중앙도서관이나 기타 도서관 및 소장이 되어 있는데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북한자료라 특수자료에 속해서 열람은 가능하되 복사 및 대출등은 불가하다 한다.

https://portal.nrich.go.kr/kor/bibliographyUsrView.do?menuIdx=824&idx=447

(국립문화재연구소 해당 링크)원문을 읽을 분들은 국회 도서관에도 있으니 찾아 보시기 바란다.

​연구자가 파악하고 있는 택견<이 용어를 혼동해서는 안된다.

이때의 택견은 그냥 격투적인, 싸움을 지칭하는 보통명사에 지나지 않기에)은 지금의 송덕기류에 한하지 않는다.

​1965년 북한의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사회과학원출판사에서 발간한 고고민속 4호의 계정희 교수 글을 봐도 당시 개성에도 택견하는 이가 있었다.

​택견이란 용어는 일반이 알듯 고유명사가 아니었지만 1983년 문화재로 지정되며 고유적으로 잘못 이해되는 측면이 크다.

현재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충주, 그리고 결련택견/택견 시합,, 은 송덕기류이기에 코리안게임스의 택견하기를 벗어나게 되면 왜곡이 된다.

​북한의 개성에 1960년대 까지도 택견 기능자가 생존 해 있었다.

Related Post

그러나 북한 개성 지역의 택견 기능자가 송덕기와 같은 기술체계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라는 것은 넌센서에 지나지 않음은 계정희 교수의 현장조사후 발표한 글을 봐도 알수가 있다.

저 서권법과 택견
간행물명고고민속
저 자계정희
출판사고고학 및 민속학 연구소 사회과학원출판사(1963~1967년) 계간
발행년도1965년(4호)

​택견의 방법에 대해서는 현지 자료를 통해서 알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것은 발로 각각 상대방의 하반신(주로 다리)을 걸어 뒤로 넘어뜨리거나 혹은 좌, 우로 차서 옆으로 넘어뜨리는 방법이다.

그리고 뛰어 오르면서 역시 발로 각각 상대방의 반신을 여러 모로 차서 넘어뜨리기도 하는데 잘 하는 경우에는 흔히 어깨죽지나 목덜미를 차서 넘어뜨린다.

이런 경우 외발로 차기도 하고 두 발을 동시에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에 따라 〈원앙각〉(두 발로 차는 것), 〈모두 걸이〉, 〈외발걸이〉, 〈외입 부침〉 등의 이름이 붙게 된다.

상대방을 막거나 공격하기 위하여 손을 쓸 수 있다. 그러나 막아서 밀어뜨릴 뿐이고 절대로 손으로 잡거나 쳐서는 안된다. 잘못하여 몸이 닿는 수가 있어도 머리로 받거나 몸으로 떠밀어서는 안되며 순전히 발로 차서 넘어뜨려야 한다.

​이렇게 택견에는 철저한 규칙이 있어서 위, 아래 경위도 모르고 함부로 덤벼드는 것을〈수접이 택견〉이라는 속담도 있다- 계정희

​즉, 택견이라 하면서 종합 격투기라거나 서양식 권투처럼 글러브 끼고 한다거나 레슬링을 하는건 계정희 교수의 현지 조사에 따르면 수접이 택견 밖에 안된다는 얘기다.

​택견이란 송덕기류- 코리안게임스의 택견하기 이고 북한 개성 지역에서 발굴된 택견은 송덕기류와 경기규칙은 유사하나 기술체계가 다른 것으로 이해함이 적합하다.

© 2024, 편집부. All rights reserved. 모든 콘텐츠(기사)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

This post was last modified on 2024년 07월 03일 4:00 오후

Leave a Comment